2024 KB시세 실거래가 및 부동산 시세 없는 아파트 조회 방법
부동산 시장의 흐름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실거래가 기반의 시세 정보도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야 합니다. 특히 KB부동산 시세는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부동산 관련 결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KB 시세를 조회하는 최신 방법과, KB 시세에서 정보를 찾을 수 없는 아파트의 대안에 대해 상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번기회에 KB 시세 조회하는 방법을 공유드리올테니, 아파트 매수시기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KB시세 조회 방법
KB 시세를 조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KB 시세 조회 웹사이트 접속
- 원하는 아파트의 이름이나 주소를 검색창에 입력
- 검색 결과에서 원하는 아파트 선택
- 세부 정보 확인을 위해 '상세보기' 클릭
- 희망하는 아파트 면적을 선택하여 변경
- 매매, 전세, 월세 시세 정보 확인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부동산 유형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PC나 모바일 환경에서 모두 접근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KB시세란 무엇인가?
KB 시세는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정보를 기반으로, KB부동산 리브온이 제공하는 주택 시세 정보입니다. 이 시세는 매주 금요일마다 업데이트되며, 주택담보대출이나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대출 기준 가격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매수하려는 집값이 5억 원이라 할지라도 KB 시세가 4억 5천만 원으로 책정되면, 대출 한도는 이 시세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업데이트 시기 : 매주 금요일 KB 부동산 시세 자료 업데이트
KB시세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 경우
모든 아파트가 KB 시세에 등록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50세대 미만의 소규모 아파트나 신축 아파트, 다세대 및 연립주택과 같이 매매 거래가 빈번하지 않은 경우 시세 정보가 빠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감정평가사가 산정한 감정평가액을 참고하거나 한국부동산원의 시세를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결책#1 : KB시세가 나오지 않는 부동산은 감정평가사가 측정한 감정평가액 활용
✅해결책#2 : 한국부동산원의 시세 기준 활용
일반가와 하위 평균가의 의미
KB 시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일반가'는 담보대출이나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기준이 되는 가격이며, '하위 평균가'는 1층과 같은 낮은 층수의 단지에서 적용되는 가격입니다. 이 두 가격은 아파트 층수에 따라 대출 한도를 산출하는 데 참고됩니다.
✅일반가 :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리거나 전세보증보험 가입시 기준이 되는 지표
✅하위 평균가 : 1층 처럼 층수가 낮은 저층은 하위평균가를 적용해서 대출 한도를 산출(일부 아파트 단지는 3층까지도 적용)
무주택자의 주담대 이용시 LTV 적용
비규제지역에서 무주택자가 주택담보대출을 실행할 경우, LTV는 최대 70%(생애최초 구매자는 80%)까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KB 시세를 기준으로 최대 금액을 대출받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내 집 마련을 계획 중인 분들은 가까운 금융기관을 통해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KB 시세 조회 방법을 알아보는 것은 부동산 매매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아파트 뿐 아니라 빌라나 오피스텔 등 다양한 부동산 유형의 시세 파악에도 도움을 줍니다. 현재 부동산 경기가 하향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시세 정보를 활용해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댓글